Blog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란 심리학자 카를 융의 이론을 이용해서 캐서린과 그녀의 딸 이사벨이 만든 성격 유형을 분석하는 도구이다. MBTI는 4가지 지표(선호하는 세계, 인식의 형태, 판단 기준, 생활 양식)를 각각 2가지로 구분해 인간의 성격을 16가지로 나타내 직관적으로 이해를 높인다.

1.진단방법

1) 선호하는 세계(E/I) 선호하는 세계는 에너지를 어느 방향으로 소비하길 선호하는지에 따라 외향형과 내향형으로 나눈다. 만일 응답자가 대인관계와 같은 외부 세계 관심이 쏟는 것을 더 선호한다면 외향형(E)으로 분류한다. 반면 자기만의 세계에 관심을 쏟는 것을 더 선호한다면 내향형(I) 분류한다.

2) 인식의 형태(S/N) 인식의 형태는 정보를 받아들일 때 있는 사실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감각형(S), 정보를 재해석하고 여러 의미를 부여 해본다면 직관형(N)으로 나눌 수 있다. 감각형의 경우 정보를 오감을 사용해 그대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현실주의적이고 미시적 안목, 숲보다는 나무를 보는 시각이 뛰어나다. 반면 직관형의 경우 정보를 직관을 통해서 재해석 및 여러 의미를 부여 해보기 때문에 미래지향적이고 거시적인 안목, 나무보다는 숲을 보는 시각이 뛰어나다.

3) 판단 기준(T/F) 판단 기준은 판단을 내릴 때 자신의 가치관, 타인의 감정 등 보다 논리적 사고를 통해 내려진 판단에 더 의존한다면 사고형(T), 논리적 사고보다는 자신의 가치관, 타인의 감정 등에 입각해 판단을 내린다면 감정형(F)이라 구분한다.

4) 생활 양식(J/P) 생활 양식은 계획을 통해서 행동을 한다면 계획형(J)이라고 하고 계획을 세우지 않고 즉흥적으로 행동을 한다면 지각형(P)이라고 구분한다.



2. 16가지 유형

위의 4가지 지표에 2가지의 구분을 통해 2*2*2*2=16가지의 성격 유형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아래에는 각 유형별 별명과 특징을 표현한 표이다.

1- ISTJ
별명 : 세상의 소금형
특징 : 한번 시작하면 끝을 본다.

2- ISFJ
별명 : 임금 뒤편의 권력형
특징 : 성실하다는 말을 많이 듣고 협동심이 높다.

3- INFJ
별명 : 예언자형
특징 : 대인관계에서 깊은 통찰력을 지니고 있다.

4- INTJ
별명 : 과학자형
특징 : 비전 제시에 능하다.

5- ISTP
별명 : 백과사전형
특징 : 논리적이고 합리적이고, 환경 적응을 잘한다.

6- ISFP
별명 : 성인군자형
특징 : 정이 많고 겸손하다.

7- INFP
별명 : 잔다르크형
특징 : 이상적인 세상을 추구한다.

8- INTP
별명 : 아이디어 뱅크형
특징 : 비평에 능하여 전략을 잘짠다.

9- ESTP
별명 : 수완좋은 활동가형
특징 : 한가지 보다는 여러 활동을 하는 것을 즐긴다.

10- ESFP
별명 : 사교적인 유형
특징 : 사교적이고 분위기를 좋게 만들어 준다.

11- ENFP
별명 : 스파크형
특징 : 새로운 대인관계를 만들기를 선호한다.

12- ENTP
별명 : 발명가형
특징 : 풍부한 상상력을 가지고 있어서 새로운 것을 시도하는 것을 좋아한다.

13- ESTJ
별명 : 사업가형
특징 : 사무적이고 현실적으로 일을 하는 것을 선호한다.

14- ESFJ
별명 : 친선도모형
특징 : 타인에게 봉사하는 것을 선호한다.

15- ENFJ
별명 : 연변능숙형
특징 : 자신보다는 타인의 성장시키는 것을 좋아한다.

16- ENTJ
별명 : 지도자형
특징 : 비전을 가지고 사람들을 이끌어 나가는 것을 좋아한다.


3. 문제점 및 한계

1) 카를 융의 이론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 MBTI의 창시자 이사벨과 그녀의 딸 캐서린은 카를 융의 이론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다. MBTI에는 두 모녀가 생각한 인간의 본성에 대한 상상과 가치관이 더 반영되었다.

2) 과학적인 방법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MBTI가 과학적이기 위해서는 4가지 지표를 양극으로 나눈 것이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쌍봉곡선의 형태(쌍봉낙타의 등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를 띄어야한다. 예를들어, 평균 수치의 내향형을 가진 수와 평균 수치의 외향형을 가진 수가 다른 지점보다 많아야 한다. 하지만 정규분포의 형태(단봉낙타 등을 생각하면 이해가 수월할 것이다)를 띄고 있다. 이 말은 내향형과 외향형을 균등하게 가진 사람들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양극성을 가지는 4가지 지표를 통해 성격 유형을 설명하려고 했던 MBTI는 그리 과학적인 방법이 아님을 알 수 있다.

3) 재검사 일치율이 낮다 재검사를 해보았을 경우에 불일치율이 높다. 왜 그런 것일까? 자기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모습을 적을 수 있어 조작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4. 당부의 말씀

저희가 만든 검사는 MBTI를 기반해 만들었습니다. MBTI는 이해하기 쉽고 접근성이 쉽다는 면에서 보았을 때, 매우 좋은 검사임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절대로 과학적인 검사는 아닙니다. 그러므로 ‘나는 이런 사람야’, ‘저 사람은 이런 사람이야’ 등 편견에 빠지지는 말아주세요. 검사를 통해서 나온 성격이 여러 분 그리고 주변 사람들을 전부 설명해주지는 않습니다. 성격 검사로 여러 분들을 우물안의 개구리보다는 검사를 통해 자신과 상대를 더 알고 성장해나갈 수 있는 발판으로 삼아주시면 정말 감사의 말씀 드리겠습니다.